고열, 어떻게 해야 할까요?

고열이 계속 되면 뇌손상 오는거 아냐? 언제 응급실 가지? 하고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실거예요.

고열 관련해서 부모님들이 많이 물어보시는 질문들과 함께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1. 😰 몇 도부터 고열인가요?

발열 : 겨드랑이 체온 37.3℃, 귀 체온 37.8 ℃

또는 평상 시 체온보다 1℃ 이상 상승

고열 : 겨드랑이 체온 39℃, 귀 체온 39.5℃

어릴수록 조금 더 높게 설정됩니다.

(겨드랑이 37.5℃, 귀 38℃)

나이대별 평균체온 ▼

2. 😰 열을 치료하지 않으면 계속 상승해 결국 뇌손상을 일으키나요?

고열과 고체온증은 다릅니다.

면역반응에 의한 발열은 무한정 올라가지 않습니다!

뇌손상 등 조직손상의 한계선인 42℃를 넘지 않으며,

41℃를 넘는 경우도 드묾니다.

고체온증은 원인이 해소되지 않으면 계속 올라가 결국 뇌손상 등을 일으킵니다.

또한, 해열제에 반응하지 않으므로 적극적인 저온요법(찬물!)이 필요합니다.

✔️ TIP!

고열과 함께 살펴봐야 할 것

​숨을 잘 쉬는지, 혈색은 괜찮은지 ➡️ 응급성 판단

오한 정도 ➡️ 중증도와 해열제 사용 판단

탈수 정도➡️ 수액 치료와 입원 판단

컨디션(놀먹자) ➡️ 진료와 해열제 사용 판단

동반증상(호흡기, 소화기, 비뇨기, 발진, 통증, 경련 등) ➡️ 원인

3. 🤔 좋아지고 있는 건가요?

-무엇보다 아이의 컨디션 우선! (놀먹자)

-열의 정점이 떨어지고, 간격이 벌어지면 호전😁 양상

-계류열→이장열→간헐열로 변화양상

-지속되면 아직 좋아지고 있지 않은 상태

-반대로 가면 악화되는 상태

4. 😭 해열제를 먹어도 안 떨어져요.

해열제는 치료제가 아닙니다!

해열제에 대한 반응을 진단이나 중증도 평가에 활용하지 않습니다.

(걱정을 줄입시다!)

아직 열이 잡힐 때가 안 됐다는 뜻/면역이 활발히 작동한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.

결국,

열나는 원인과 아이 상태가 중요합니다!

5. 😔 잘 때 고열나면 어떻게 하나요?​

기본적으로 잘 자고 있으면 해열제를 먹이지 않아도 됩니다.

미온수 마사지도 X ➡️ 땀 닦아주는 정도

아이가 힘들어하면?

복합써스펜좌약 > 깨워서 해열제 먹이기

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 열로 잘못되는 경우는 드뭅니다.

🚑🚑바로 응급실 가야 하는 상황🚑🚑

3개월 미만 발열 (1개월 아기는 원칙적으로 입원 관리)

4~6개월 발열 + 아이 상태가 안 좋은 경우

이후에는 고열 + 아이 상태가 안 좋은 경우

고열은 우리 아이의 건강 이상을 알리는 신호입니다.

무시해서는 안 되지만, 그렇다고 과도한 대처는 불필요합니다.

컨디션이 괜찮다면, 고열로 잘못 되는 경우는 없습니다.

진료 받고, 수분영양 공급과 적절한 해열제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^^